재테크/현황 분석5 트럼프 하버드와 갈등, 반유대주의 근절을 위해? 어디까지 건드리는가.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 등 주요 대학에서 발생한 친팔레스타인 시위와 이 과정에서 불거진 반유대주의 논란을 문제 삼아, 대학이 연방정부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대규모 연구비와 보조금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실제로 하버드가 행정부의 요구를 거부하자, 트럼프 행정부는 약 22억 달러(약 3조 원)에 달하는 연방 보조금과 계약금 지급을 즉각 동결했습니다. 이는 하버드가 받는 전체 연방 지원금(약 90억 달러) 중 일부에 해당합니다. 역시나, 요즘 하루가 다르게 말썽만 부리고 있는 트럼프입니다. 오늘은 중국에 대한 관세를 245%까지 올리더니, 세계 최고 대학인 하버드도 자기 입맛대로 바꾸려고 하는군요. 1.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 요구사항 트럼프는 반유대주의 근절을 명분으로, 대학들에게 다음과.. 2025. 4. 16. 트럼프 관세 유예! 장기채 금리 급등에 물러선 미국 트럼프 관세 유예, 왜 불가피했을까? 트럼프는 4월 2일에 모든 무역국들에 상호관세를 부과했습니다.한국 25%, 일본 24%, 중국에 34% 등으로 정하며 파격적인 관세를 발표했었죠. 국가미국에 부과되는 관세 (통화 조작 및 무역 장벽 포함)미국의 "할인된" 관세중국67%34%유럽39%20%베트남90%46%일본46%24%한국50%25% 하지만 시행 하루 전인 4월 9일에 트럼프는 중국 125% 부과, 타 국가에는 관세 90일 유예를 발표합니다.또한, 4월 12일에 스마트폰이나 PC부품 등에는 관세를 별도로 하겠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왜....? 이렇게 갑자기 약한 모습을 보인 것일까요?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단순한 보호무역주의의 표현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미국 산업과 일자리를 보호하기 위한.. 2025. 4. 14. 관세란? 트럼프는 왜 관세 정책에 집착하고 있는걸까?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최근에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많은 혼란이 발생하고 있죠. 뉴스만 틀면 나오는 게 관세 25% 부과! 50% 부과! 같은 이야기이니 말이죠. 하지만, 관세라는 게 정확히 뭘까요? 그리고 왜 하겠다는 건가요? 뉴스에서 거창하게 이야기하고 있습니다만, 그렇게 쉬운 이야기만은 아니죠. 저도 나름 알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만, 정작 관세가 뭔지 묻는다면 대답하기 쉽지 않을 것 같거든요. 그래서 여러분이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준비해 봤습니다. 목차1. 관세라는 건 무엇인가요?2. 미국, 아니 트럼프는 그래서 관세로 뭘 하려는 건가요?3. 미국이 적자국가라고요? 미국 망하나요?4. 그럼 관세 부과가 되면 우리나라는 어떻게 되나요? 1. 관세라는건 무엇인가요? 관세는 국경을 넘어 상품이나 서비스가 이동할 때 .. 2025. 3. 29. 국민연금 개혁안의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은 과연 합리적일까? 국민연금 개혁안, 3월 20일에 국회 통과...우리는 왜 비판하고 있는가? 가뜩이나 나라가 여러 이슈로 혼란스러운 시기를 보내고 있지만, 한 가지 이슈가 추가되었습니다. 3월 20일, 국회 본회의에서 국민연금 개혁안이 통과되었습니다. 보험료율은 13%까지 상승, 소득대체율은 43%로 고정 하지만 그 과정에서 청년들의 희생이 강요된다는 주장과 함께 많은 반발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번 개정안에 의하면 동일한 기준(월급 309만원)으로 계산했을 때 현재 20세는 50세 대비 일생에 걸쳐 약 5천만원을 추가로 국민연금으로 납입하지만, 연금 수령액은 약 2천만원을 추가로 받게 됩니다. 특히 총연금 수령액은 50세 대비 5천만원 적게 받게 되는 것인데, 이 말은 일생에 걸친 실수령액에서 약 1억가량이 .. 2025. 3. 22. 한국, 미국정부에 의해 민감국가 지정 확정!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한국의 민감국가 목록 추가 공식화3월 12일경에 미국 정부에서 민감국가 리스트에 우리나라를 추가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가 떴었습니다. 당시에는 그럴 가능성이 있다는 정도의 내용이었지만, 이제는 공식 확인되어 버렸습니다. 이미 25년 1월달에 한국은 민감국가 목록에 올라가는 것이 확실시 되었다는 소식입니다. 우려하던 사항이 정말이었고, 이미 확정되어 있었다는 점이 이제 확실시 되어서 큰 충격이네요. 특히나, 동맹국에 해당하는 우리나라가 북한이나 러시아같이 어찌보면 적대적인 국가와 유사한 카테고리에 들어갔다는 점은 우리나라의 미래에 있어서 완전히 마이너스 요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공식적으로는 4월 15일을 기준으로 민감국가로 분류되는데, 민감국가 중 최하위 범주인 기타 지정 국가로 분류되기.. 2025. 3.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