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

지분형 주택금융 제도, 합리적인 선택일까? 최근에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지분형 주택금융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알렸습니다. 지분형 주택금융은 무주택자가 자본 10%만으로 주택을 구매할 수 있게 해 주는 방식입니다. 주택 금융공사가 50%의 지분을 지원하므로, 이를 통해 10억 원짜리 주택을 1억 원 자본과 4억 원 대출로 구입할 수 있다 기존에는 디딤돌 대출이나, 생애최초 대출과 같이 직접적으로 일정한 금액을 대출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이었다면,주택 금융공사는 대출이 아닌 지분을 소유하므로, 이자 부담이 없고 대신 낮은 사용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기존 대출 방식과 달리, 이 모델은 중산층에게 부동산을 살 수 있는 기회 자체를 주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기존 대출에서는 LTV 70%라면 10억짜리 아파트를 사기 .. 2025. 4. 24.
트럼프 하버드와 갈등, 반유대주의 근절을 위해? 어디까지 건드리는가.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 등 주요 대학에서 발생한 친팔레스타인 시위와 이 과정에서 불거진 반유대주의 논란을 문제 삼아, 대학이 연방정부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대규모 연구비와 보조금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실제로 하버드가 행정부의 요구를 거부하자, 트럼프 행정부는 약 22억 달러(약 3조 원)에 달하는 연방 보조금과 계약금 지급을 즉각 동결했습니다. 이는 하버드가 받는 전체 연방 지원금(약 90억 달러) 중 일부에 해당합니다. 역시나, 요즘 하루가 다르게 말썽만 부리고 있는 트럼프입니다. 오늘은 중국에 대한 관세를 245%까지 올리더니, 세계 최고 대학인 하버드도 자기 입맛대로 바꾸려고 하는군요. 1.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 요구사항 트럼프는 반유대주의 근절을 명분으로, 대학들에게 다음과.. 2025. 4. 16.
트럼프 관세 유예! 장기채 금리 급등에 물러선 미국 트럼프 관세 유예, 왜 불가피했을까? 트럼프는 4월 2일에 모든 무역국들에 상호관세를 부과했습니다.한국 25%, 일본 24%, 중국에 34% 등으로 정하며 파격적인 관세를 발표했었죠. 국가미국에 부과되는 관세 (통화 조작 및 무역 장벽 포함)미국의 "할인된" 관세중국67%34%유럽39%20%베트남90%46%일본46%24%한국50%25% 하지만 시행 하루 전인 4월 9일에 트럼프는 중국 125% 부과, 타 국가에는 관세 90일 유예를 발표합니다.또한, 4월 12일에 스마트폰이나 PC부품 등에는 관세를 별도로 하겠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왜....? 이렇게 갑자기 약한 모습을 보인 것일까요?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단순한 보호무역주의의 표현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미국 산업과 일자리를 보호하기 위한.. 2025. 4. 14.
아임인 쿠폰, 목돈지원금으로 1년 수익률 21% 만드는 방법 아임인, 계모임에 금융시스템을 장착한 앱 최근에 재미있는 재테크 앱을 발견하여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아임인"이라는 앱인데, 예전에 저희가 흔히 계모임이라고 부르는 형태를 기업화한 앱입니다계모임 내에서 사람들의 수익률이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게 특징입니다. 제목은 어그로는 아닙니다만..실제로 실행해보지는 못했고, 순수하게 계산에 의거한 수치입니다. 계산상으로는 수익률 40% 이상까지도 도달하지만,말도 안되는 수치같아서 일단 가장 안정적인 21%를 제시하였습니다.   인터넷 상에 아무런 언급이 없는 것을 보면 2가지 중 하나겠네요.1. 알지만 숨기고 있는 경우2. 실제로는 이 이상적인 수익률에 도달하기에는 시스템상 어려움이 있는 경우 어자피 보는 사람이 많지 않은 블로그 글이니, 열심히 한 번 풀어서 설명드.. 2025. 4. 8.
관세란? 트럼프는 왜 관세 정책에 집착하고 있는걸까?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최근에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많은 혼란이 발생하고 있죠. 뉴스만 틀면 나오는 게 관세 25% 부과! 50% 부과! 같은 이야기이니 말이죠. 하지만, 관세라는 게 정확히 뭘까요? 그리고 왜 하겠다는 건가요? 뉴스에서 거창하게 이야기하고 있습니다만, 그렇게 쉬운 이야기만은 아니죠. 저도 나름 알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만, 정작 관세가 뭔지 묻는다면 대답하기 쉽지 않을 것 같거든요.  그래서 여러분이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준비해 봤습니다.  목차1. 관세라는 건 무엇인가요?2. 미국, 아니 트럼프는 그래서 관세로 뭘 하려는 건가요?3. 미국이 적자국가라고요? 미국 망하나요?4. 그럼 관세 부과가 되면 우리나라는 어떻게 되나요?  1. 관세라는건 무엇인가요? 관세는 국경을 넘어 상품이나 서비스가 이동할 때 .. 2025. 3. 29.
빗썸 에어드랍, 소소한 용돈벌이가 필요하신가요? 용돈벌이 재테크 카테크, 상테크, 앱테크 등등...저도  재테크를 하기 위해서 정말 많은 것들을 알아봤었습니다.대부분이 약간의 노력으로 소소한 수익을 벌 수 있는 수단들이죠. 카테크는 리턴은 제법되지만, 신용에 손상이 갈 수도 있고 타이밍을 잘 봐야하죠.상테크는..여러분도 아시다시피 티몬사태가 터진 이후로는 사실상 이익을 보기 힘들어졌습니다.앱테크는 노력 대비 보상이 소소한 경우가 많죠. 빗썸 에어드랍 그런 의미에서 빗썸 에어드랍은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용돈벌이 재테크입니다.사실 비트코인 사이클에 맞춰 빗썸이 참여자를 모집하기 위해 사람들을 거래소로 끌어당기는 수단이죠, 하는 방법도 간단합니다.  원화 마켓 추가 공지를 확인한다. 곧바로 원화 마켓 추가 기념 에어드랍 이벤트가 게시된다.이벤트 내용에 따라.. 2025. 3. 25.
2025년 다자녀 혜택 정리 (2자녀 혜택 및 3자녀 혜택 구분) 안녕하세요. 저번 출산 혜택을 정리한 글에 이어서 2025년의 다자녀 혜택도 정리해보았습니다. 2025년 출산 혜택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025.03.19 - [재테크/LIFE] - 2025년 소득 제한 없이 받을 수 있는 출산 혜택 총정리 2025년 소득 제한 없이 받을 수 있는 출산 혜택 총정리최근 국가에서 출산 가정을 위해 다양한 복지 혜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최근에 저출산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는만큼 출산 혜택은 점점 강화되어 가고 있는것 입니다. 제ranedy.com 2025년의 다자녀 혜택, 뭐가 특별할까요?  바로 다자녀 혜택 중 많은 것들이 천천히 3자녀 기준에서 2자녀로 바뀌고 있다는 점입니다.저출산 시대에 3자녀는 찾아보기 힘들지만, .. 2025. 3. 24.
국민연금 개혁안의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은 과연 합리적일까? 국민연금 개혁안, 3월 20일에 국회 통과...우리는 왜 비판하고 있는가? 가뜩이나 나라가 여러 이슈로 혼란스러운 시기를 보내고 있지만, 한 가지 이슈가 추가되었습니다.  3월 20일, 국회 본회의에서 국민연금 개혁안이 통과되었습니다.  보험료율은 13%까지 상승, 소득대체율은 43%로 고정 하지만 그 과정에서 청년들의 희생이 강요된다는 주장과 함께 많은 반발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번 개정안에 의하면 동일한 기준(월급 309만원)으로 계산했을 때 현재 20세는 50세 대비 일생에 걸쳐 약 5천만원을 추가로 국민연금으로 납입하지만, 연금 수령액은 약 2천만원을 추가로 받게 됩니다. 특히 총연금 수령액은 50세 대비 5천만원 적게 받게 되는 것인데, 이 말은 일생에 걸친 실수령액에서 약 1억가량이 .. 2025.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