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번 출산 혜택을 정리한 글에 이어서 2025년의 다자녀 혜택도 정리해보았습니다.
2025년 출산 혜택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025.03.19 - [재테크/LIFE] - 2025년 소득 제한 없이 받을 수 있는 출산 혜택 총정리
2025년 소득 제한 없이 받을 수 있는 출산 혜택 총정리
최근 국가에서 출산 가정을 위해 다양한 복지 혜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최근에 저출산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는만큼 출산 혜택은 점점 강화되어 가고 있는것 입니다. 제
ranedy.com
2025년의 다자녀 혜택, 뭐가 특별할까요?
바로 다자녀 혜택 중 많은 것들이 천천히 3자녀 기준에서 2자녀로 바뀌고 있다는 점입니다.
저출산 시대에 3자녀는 찾아보기 힘들지만, 2자녀분들은 그래도 많이 보이는데요.
정부에서 제공하는 2자녀 혜택들도 잘 찾아서 열심히 재테크 해보시길 바랍니다.
2025년부터 시행되는 다자녀 가구 대상의 다양한 혜택을 안내드립니다. 출산 이용권부터 아이돌봄, 교통, 전기차 보조금, 세금 혜택까지 꼭 확인해보세요.
1. 아이돌봄 서비스
12세 이하 아동을 돌볼 사람이 없는 가정에 아이돌보미가 찾아가는 서비스가 제공된다고 합니다.
우선지원 대상:
- 장애부모 가정
- 한부모 가정
- 조손 가정
- 맞벌이 가정
2자녀 이상(월 평균 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하)이면, 본인 부담금의 10%를 추가로 정부가 지원합니다!
2. 국가장학금 혜택
2025년 국가장학금은 자녀 수에 따라 차등 지원됩니다.
이번에는 소득분위도 완화되었다고 하는데, 이제 9구간까지로 확대되었다고 합니다.
이전에는 8구간까지였는데, 이 1구간 차이로 많은 사람들이 헤택을 나눠받게 되었습니다.
- 1자녀 가구: 연 100만원
- 2자녀 가구: 첫째, 둘째 각 연 135만 원
- 3자녀 이상: 셋째 이상부터는 연 200만 원
3. 자동차 취득세 감면제도
3자녀 이상 가구
- 7인승 이상 차량: 취득세 100% 감면
- 6인승 이하 차량: 최대 140만 원 한도 감면
2자녀 가구 (신규 적용)
- 7인승 이상 차량: 50% 감면 (ex. 취득세가 400만 원 → 200만 원 감면)
- 승용차: 최대 70만 원 한도 내에서 50% 감면 (ex. 취득세가 100만 원 → 50만 원 감면 (단, 한도는 70만 원))
4. 공공요금 할인
전기요금 할인(3자녀 이상)
- 월 전기요금 30% 할인 (최대 16,000원 한도)
자녀 혹은 손자녀가 18세 미만인 경우에는 세대가 분리되어 있어도 같은 가구로 본다고 합니다!
도시가스 요금 할인(3자녀 이상)
- 동절기: 월 18,000원 할인
- 그 외 기간: 월 24,470원 할인
지역난방 요금 지원(3자녀 이상)
- 매달 4,000원 지원, 1년 치(총 48,000원) 일괄 지급
5. 대중교통 및 휴양지 할인 혜택
KTX 할인
- 2자녀 가구: 어른 운임의 30% 할인
- 3자녀 가구: 어른 운임의 50% 할인
- 조건: 어른 1명 + 25세 미만 자녀 2명 이상 함께 탑승 시
국립자연휴양림 할인
- 입장료 면제 (19세 미만 자녀 2인 이상 가구)
- 비수기 주중: 객실 30%, 야영장 20% 할인
- 성수기 및 주말: 객실, 야영장 10% 할인
'재테크 >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임인 쿠폰, 목돈지원금으로 1년 수익률 21% 만드는 방법 (2) | 2025.04.08 |
---|---|
빗썸 에어드랍, 소소한 용돈벌이가 필요하신가요? (0) | 2025.03.25 |
2025년 소득 제한 없이 받을 수 있는 출산 혜택 총정리 (0) | 2025.03.19 |
국민행복카드란? 혜택부터 신청까지 총정리 (0) | 2025.03.18 |
겸업금지, 회사에서 내 부업을 알 수 있을까? (0) | 2025.03.14 |